본문 바로가기
30일 프로젝트 - 수직농업 수익화

Day 29 - 수직 농장 운영 1년 차 수익 공개 (가상 시뮬레이션 분석)

by greenff 2025. 4. 14.
반응형
Day 29 - 수직 농장 운영 1년 차 수익 공개 (가상 시뮬레이션 분석)

수직 농장을 시작하고 나면 가장 궁금한 점 중 하나는 바로 “실제로 수익이 얼마나 날까?”입니다.

이번 글에서는 **소형 창업형 수직 농장**을 기준으로, 1년간의 수익과 지출을 **가상의 시뮬레이션**을 통해 상세히 분석해보겠습니다.

“스마트팜의 수익은 효율적인 시스템 구축과 유통 전략에 따라 달라진다.” - 스마트팜 실전 가이드, 2025

1. 가상 모델 설정: 중소형 수직 농장 기준

농장 조건

  • 면적: 33㎡ (약 10평), 실내 창고형 구조
  • 작물: 샐러드 채소, 허브, 마이크로 그린 혼합
  • 재배 시스템: 수경재배, 3단 선반, 자동 급수 시스템 포함
  • 판매 방식: B2C(직접 판매) + B2B(레스토랑 납품) 혼합

2. 연간 지출 내역 분석

항목 비용 비고
공간 임대료 7,200,000원 월 60만 원
전기 요금 3,600,000원 월 30만 원 (LED 조명 및 환경 제어 포함)
수경재배 소모품 2,400,000원 양액, 여과기, 배양판 등
작물 종자 및 소모 자재 1,800,000원 종자, 플러그 트레이, 포장재
인건비 0원 1인 운영 가정
기타 운영비 1,000,000원 소모품, 유지보수, 물류 등
총 지출 16,000,000원

3. 연간 수익 시뮬레이션

월간 생산량 및 판매

  • 작물 수확: 월 2회 수확 × 회당 60kg → 월 120kg
  • 판매 단가: 평균 1kg당 9,000원 (소매/도매 혼합 기준)
  • 월 매출: 1,080,000원
  • 연간 매출: 12,960,000원

부가 수익

  • 샐러드 키트 소포장 판매: 연 2,000,000원
  • 지역 체험 수익(3회): 연 1,200,000원

총 수익 합계

총 매출: 16,160,000원

4. 수익률 및 손익 계산

  • 총 수익: 16,160,000원
  • 총 지출: 16,000,000원
  • 1년차 순이익: 160,000원 (약 +1%)

분석 요약

  • 소규모 운영 시 **1년차는 손익분기점(BEP)을 맞추는 데 집중**
  • 자동화와 판로 확대가 수익 상승의 핵심
  • 이익은 크지 않지만, **브랜드와 운영 경험이 자산으로 남음**

5. 수익 향상을 위한 전략

  • ✅ 정기 구독 서비스 도입 (월 평균 고정 매출 확보)
  • ✅ 유기농/무농약 인증 획득 후 프리미엄 가격 전략 적용
  • ✅ 스마트 마켓 및 플랫폼 입점으로 B2C 판매 확대
  • ✅ 체험형 서비스와 도시농업 교육 부가수익 창출

결론

수직 농장의 1년 차는 **투자 대비 회수 기간을 파악하는 시기**이며, 처음부터 큰 이익을 기대하기보다는 **브랜드 구축과 운영 최적화**에 집중해야 합니다.

효율적인 자동화 시스템, 시장에 맞는 작물 선정, 정기 고객 확보 전략 등을 통해 **2년 차부터는 안정적인 흑자 전환이 가능**합니다.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