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
수직 농장을 시작하고 나면 가장 궁금한 점 중 하나는 바로 “실제로 수익이 얼마나 날까?”입니다.
이번 글에서는 **소형 창업형 수직 농장**을 기준으로, 1년간의 수익과 지출을 **가상의 시뮬레이션**을 통해 상세히 분석해보겠습니다.
“스마트팜의 수익은 효율적인 시스템 구축과 유통 전략에 따라 달라진다.” - 스마트팜 실전 가이드, 2025
1. 가상 모델 설정: 중소형 수직 농장 기준
농장 조건
- 면적: 33㎡ (약 10평), 실내 창고형 구조
- 작물: 샐러드 채소, 허브, 마이크로 그린 혼합
- 재배 시스템: 수경재배, 3단 선반, 자동 급수 시스템 포함
- 판매 방식: B2C(직접 판매) + B2B(레스토랑 납품) 혼합
2. 연간 지출 내역 분석
항목 | 비용 | 비고 |
---|---|---|
공간 임대료 | 7,200,000원 | 월 60만 원 |
전기 요금 | 3,600,000원 | 월 30만 원 (LED 조명 및 환경 제어 포함) |
수경재배 소모품 | 2,400,000원 | 양액, 여과기, 배양판 등 |
작물 종자 및 소모 자재 | 1,800,000원 | 종자, 플러그 트레이, 포장재 |
인건비 | 0원 | 1인 운영 가정 |
기타 운영비 | 1,000,000원 | 소모품, 유지보수, 물류 등 |
총 지출 | 16,000,000원 |
3. 연간 수익 시뮬레이션
월간 생산량 및 판매
- 작물 수확: 월 2회 수확 × 회당 60kg → 월 120kg
- 판매 단가: 평균 1kg당 9,000원 (소매/도매 혼합 기준)
- 월 매출: 1,080,000원
- 연간 매출: 12,960,000원
부가 수익
- 샐러드 키트 소포장 판매: 연 2,000,000원
- 지역 체험 수익(3회): 연 1,200,000원
총 수익 합계
총 매출: 16,160,000원
4. 수익률 및 손익 계산
- 총 수익: 16,160,000원
- 총 지출: 16,000,000원
- 1년차 순이익: 160,000원 (약 +1%)
분석 요약
- 소규모 운영 시 **1년차는 손익분기점(BEP)을 맞추는 데 집중**
- 자동화와 판로 확대가 수익 상승의 핵심
- 이익은 크지 않지만, **브랜드와 운영 경험이 자산으로 남음**
5. 수익 향상을 위한 전략
- ✅ 정기 구독 서비스 도입 (월 평균 고정 매출 확보)
- ✅ 유기농/무농약 인증 획득 후 프리미엄 가격 전략 적용
- ✅ 스마트 마켓 및 플랫폼 입점으로 B2C 판매 확대
- ✅ 체험형 서비스와 도시농업 교육 부가수익 창출
결론
수직 농장의 1년 차는 **투자 대비 회수 기간을 파악하는 시기**이며, 처음부터 큰 이익을 기대하기보다는 **브랜드 구축과 운영 최적화**에 집중해야 합니다.
효율적인 자동화 시스템, 시장에 맞는 작물 선정, 정기 고객 확보 전략 등을 통해 **2년 차부터는 안정적인 흑자 전환이 가능**합니다.
반응형
'30일 프로젝트 - 수직농업 수익화' 카테고리의 다른 글
Day 30 - 수직 농장 창업 A to Z (사업 계획서 작성부터 실행까지) (0) | 2025.04.15 |
---|---|
Day 28 - 수직 농장 확장 전략: 소규모에서 대규모로 성장하는 방법 (1) | 2025.04.13 |
Day 27 - 수직 농장의 경제성과 장기적인 수익 모델 (0) | 2025.04.11 |
Day 26 - 수직 농장 수확 후 판매까지의 과정 (포장, 배송, 유통 등) (0) | 2025.04.10 |
Day 25 - 수직 농장에서 유기농 재배가 가능할까? (친환경 농법 적용법) (0) | 2025.04.10 |